오늘은 국내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 기술 전시회인 ‘세미콘 코리아(SEMICON Korea 2015)에서 주목을 받은 기업들을 소개하는 2번 째로 ’코스텍시스템‘을 소개한다.
코스텍시스템은 반도체 생산 장비를 국산화 하는데 앞장선 기업이다.
외국산 일색 장비, 국산화에 성공코스텍시스템이 생산하고 있는 제품들은 모두 미국, 일본, 독일 등 세계 선진국 장비 회사들과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하는 제품들이다.
반도체웨이퍼시송장치는 한 때 미국의 Brooks Automation회사가 독점하고 있었다. 이 장비는 한국말로 백본((Back Bone)이라 불리는 장비인데 반도체칩을 만드는 장비에서 웨이퍼를 진공 상태에서 이송해주는 장치다. 이 장비를 코스텍시스템에서 국산화에 성공해 지금은 국내 시장 점유율이 50%에 달할 정도로 당당하게 외국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다.
외국산이 독점하던 TSV 장비도 국산화코스텍시스템은 외국산이 독점하던 TSV 장비 국산화에도 성공했다.
TSV(Through Silicon Via) 장비는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분야인 3D IC제조를 위한 장비다.
2010년에 개발을 시작해 약 30억 원을 투자해 2013년에 개발을 완료했다. 코스텍시스템은 이외에도 많은 제품들의 국산화에 성공해 한국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해왔다.
기술 개발에 전력한국 메모리 반도체 분야는 세계 정상을 달리고 있지만 수출로 벌어들인 외화의 상당 부분은 원천 기술을 개발한 외국 기업들에게 지불하고 있다.
이런 현실을 안타깝게 여긴 코스텍시스템은 반도체 장비 분야 제품의 국산화를 위해 전체 인력의 60% 이상이 기술 개발 인력일 정도로 기술 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많은 반도체 장비들 국산화에 성공한 것이다.
중국 등 수출 시장 확보 노력도대기업들과 힘든 경쟁 속에서도 코스텍시스템이 주목받는 이유는 제품의 국산화를 위해 기술 개발에 주력해 빛나는 성과를 거두었기 때문이다.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코스텍시스템의 제품들은 중국 등 해외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앞으로도 더욱 많은 제품들의 국산화를 위해 노력하며 해외시장 개척에도 적극적인 노력을 할 예정이다.
오늘은 국내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 기술 전시회인 ‘세미콘 코리아(SEMICON Korea 2015)에서 주목을 받은 기업들을 소개하는 2번 째로 ’코스텍시스템‘을 소개한다.
코스텍시스템은 반도체 생산 장비를 국산화 하는데 앞장선 기업이다.
외국산 일색 장비, 국산화에 성공코스텍시스템이 생산하고 있는 제품들은 모두 미국, 일본, 독일 등 세계 선진국 장비 회사들과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하는 제품들이다.
반도체웨이퍼시송장치는 한 때 미국의 Brooks Automation회사가 독점하고 있었다. 이 장비는 한국말로 백본((Back Bone)이라 불리는 장비인데 반도체칩을 만드는 장비에서 웨이퍼를 진공 상태에서 이송해주는 장치다. 이 장비를 코스텍시스템에서 국산화에 성공해 지금은 국내 시장 점유율이 50%에 달할 정도로 당당하게 외국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다.
외국산이 독점하던 TSV 장비도 국산화코스텍시스템은 외국산이 독점하던 TSV 장비 국산화에도 성공했다.
TSV(Through Silicon Via) 장비는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분야인 3D IC제조를 위한 장비다.
2010년에 개발을 시작해 약 30억 원을 투자해 2013년에 개발을 완료했다. 코스텍시스템은 이외에도 많은 제품들의 국산화에 성공해 한국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해왔다.
기술 개발에 전력한국 메모리 반도체 분야는 세계 정상을 달리고 있지만 수출로 벌어들인 외화의 상당 부분은 원천 기술을 개발한 외국 기업들에게 지불하고 있다.
이런 현실을 안타깝게 여긴 코스텍시스템은 반도체 장비 분야 제품의 국산화를 위해 전체 인력의 60% 이상이 기술 개발 인력일 정도로 기술 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많은 반도체 장비들 국산화에 성공한 것이다.
중국 등 수출 시장 확보 노력도대기업들과 힘든 경쟁 속에서도 코스텍시스템이 주목받는 이유는 제품의 국산화를 위해 기술 개발에 주력해 빛나는 성과를 거두었기 때문이다.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코스텍시스템의 제품들은 중국 등 해외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앞으로도 더욱 많은 제품들의 국산화를 위해 노력하며 해외시장 개척에도 적극적인 노력을 할 예정이다.